현대차·기아, R&D ‘원팀’ 전환, 완성차 업계가 SDV에 사활 거는 이유는

기존 SDV본부·CTO 등 각 조직 통합 및 신설
AVP 본부, R&D 본부 2개축으로 운영 예정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도 SDV 전환에 속도
현대-SDV_포티투닷_2024011
현대자동차 CEO 인베스트 데이 발표 장표 중 42dot 부문 발췌/출처=포티투닷

현대차그룹이 미래 모빌리티 연구개발(R&D) 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조직 개편을 단행한다. 이번 조직 개편 핵심은 ‘미래차 플랫폼(Advanced Vehicle Platform, 이하 AVP)’ 본부 신설이다. SDV(Software Defined Vehicle·SW 중심 자동차)로의 전환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관련 R&D 조직을 일원화해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AVP 본부는 미래차, R&D본부는 양산차 전담

16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이번 R&D 조직 개편의 주요 골자는 그룹 내 흩어져 있는 소프트웨어(SW) 개발 인력을 하나로 모아 신설되는 AVP 본부로 통합하는 것이다. 현대차그룹은 그동안 글로벌 SW 센터인 포티투닷(42dot)과 현대차·기아 내 조직인 최고기술책임자(CTO), 글로벌 전략 오피스(GSO), SDV 본부 등을 운영하며 각각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미래 모빌리티 시장 변화에 대응해 왔다. 하지만 조직 분산과 리더십 이원화로 인한 혁신 전략의 일관성 부족, 협업 체계 복잡성 등이 R&D 속도를 저하시킨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번 개편을 통해 현대차그룹의 R&D 조직은 크게 2개의 축으로 나뉜다. 이번에 신설되는 ‘AVP 본부’와 기존 CTO 조직 등에서 수행해 온 연구개발 업무를 담당하는 ‘R&D 본부’다. 미래차에 초점을 둔 AVP 본부는 SW와 혁신에, 기본적인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R&D 본부는 하드웨어와 양산차에 각각 집중해 현대차그룹 R&D 역량의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임 AVP 본부장에는 송창현 SDV 본부장(사장)이 임명됐다. 현재 현대차그룹의 SW 센터인 포티투닷 대표도 겸하고 있는 송 사장은 앞으로 현대차·기아의 미래차 혁신을 주도한다. R&D 본부는 양산 관련 개발과 기본 경쟁력 확보를 담당하게 된다. 현대차·기아의 신차·양산차를 중심으로 경쟁력 등을 끌어올리는 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지금의 CTO 조직이 R&D 본부 체제로 전환된다. R&D 본부는 현대차·기아의 신차 개발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TVD 본부장인 양희원 부사장이 총괄하게 된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12월 김용화 CTO 사장이 취임 6개월 만에 고문으로 물러나며 R&D 조직 개편을 예고한 바 있다. 현대차그룹은 2025년까지 모든 차종의 SDV 전환을 선언했으며, 2030년까지 18조원 규모의 투자에 나설 방침이다. 나아가 모든 이동 수단과 서비스를 SW 중심으로 연결하는 중장기 SDx(Software-defined everything) 전략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완성차 업체들, SDV 전환에 집중

현대차그룹이 SDV 전환을 추진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고객 확보에 있다. 단순히 자동차를 만들어 파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AR(증강현실) 등 첨단 기술과의 연계를 통해 고객과의 접점을 높이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SDV는 차를 고객에게 인도하는 순간부터가 시작이라고 할 정도로 활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SDV는 고객에게 맞춤형으로 개선된 사용자 경험을 빠르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충성도를 높인다. 스마트폰 업데이트처럼 자동차도 최신 기능을 항상 유지한다면, 차를 바꾸지 않고도 신차를 구매한 것과 유사한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완성차 업체 입장에서는 매번 신차를 생산하지 않더라도 락인(lock-in)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셈이다.

관련 시장도 급성장 중이다. 시장조사업체 IHS마켓에 따르면 글로벌 SDV 시장은 2020년 180억 달러(약 22조원)에서 2030년 830억 달러(약 112조원) 규모로 늘어날 전망이다. 10년 만에 4배 이상 커지는 것인데 아직까지 절대 강자가 없는 상황이다. 완성차 업체들이 R&D 조직에 변화를 거듭하며 SDV 기술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는 이유다.

현재 테슬라는 비상등 자동 활성화 기능, 스마트 자동 주차 등의 SW를 제공하며 이미 수익을 실현하고 있는 상황이며, BYD(비야디)는 엔비디아의 자율주행 컴퓨팅 플랫폼 ‘드라이브 오린’을 차세대 모델에 적용할 예정이다. 폭스바겐그룹은 2030년까지 새로운 SW를 400만 대 이상의 차량에 적용하겠다는 목표를 밝혔고, GM(제너럴모터스)은 SW 지원 서비스에 선제적으로 투자해 2030년 200억~250억달러(약 26조~33조원)의 수익을 내겠다는 계획이다.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