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 콘텐츠 커머스에서 ‘해외직구’로 전략 수정

TV홈쇼핑 업계, 라이브커머스의 판매자 간 불공정 거래 등 이유로 규제 필요성 주장 티몬, 웹예능 ‘게임부록’ 제작해 콘텐츠 스토리텔링에 상품 연결 시도 이종관 박사, “방송심의 체계를 OTT에 그대로 적용하려는 시도 있어선 안 돼”

사진=티몬 홈페이지

지난 9월 티몬이 사모펀드 앵커에쿼티파트너스(앵커PE)와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가 보유한 티몬 지분과 해외 직구 플랫폼 큐텐의 물류 자회사 큐익스프레스의 지분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큐텐 품에 안겼다. 또한 지난달 말에는 류광진 큐텐 부사장을 신임 대표로 선임했다. 티몬은 큐텐에 인수된 후 전략 재정비에 나선 모습이다. 이번 전략의 핵심은 큐텐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직구’와 ‘역직구’다.

티몬의 영업손실, 전년 대비 20.4% 늘어난 760억원 기록

티몬은 쿠팡, 위메프와 함께 과거 3대 소셜커머스로 꼽히는 등 시장을 선도했으나 지난 2017년 창업주인 신현성 대표가 물러난 후에도 고전을 면치 못했다. 티몬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14.7% 감소한 1,290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손실은 전년 대비 20.4% 늘어난 76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기준 4년간 누적 적자는 약 2,991억원에 달한다. 이로써 쿠팡, 네이버 등 선두 주자들과의 격차는 상당히 벌어졌고, 대기업을 등에 업은 SSG닷컴 및 롯데온 등 이커머스 업체들과도 직접 경쟁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티몬은 기존 전략을 폐기하고 큐텐이 가진 강점을 살려 직구와 역직구 시장 수요를 장악하는 방식으로 승부수를 던진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 해외직구 거래액은 5조1,404억원으로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이미 직구족을 겨냥해 ‘아마존 글로벌 스토어’를 론칭한 11번가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43% 성장한 1,899억원으로 집계됐다.

큐텐과 시스템 통합이 구현될 경우 티몬 고객들은 티몬에서 쉽고 간편하게 동남아시아의 상품들을 구매할 수 있다. 현재 동남아시아 국가의 상품들을 직구하기 위해서는 현지 이커머스를 통해 직접 구매 후 배송대행지를 이용해 물품을 받아야 한다. 이 방식은 느린 배송과 낮은 상품 신뢰도, 결제 및 환불의 어려움 등의 불편이 따르는 만큼, 티몬은 불편함 해소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역직구 수요도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셀러들이 큐텐에 상품을 업로드하면 곧바로 동남아시아 고객들이 티몬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설정된다. 최근 K-콘텐츠 열풍으로 역직구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쇼피, G마켓 등이 역직구 수요 공략에 나선 상황이지만, 이미 아시아 지역 직구 플랫폼으로 입지를 굳힌 큐텐이 일정 수요를 끌어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희철, 유튜버 김성회, 성승헌 캐스터가 출연하는 게임부록 포스터/사진=티몬

티몬, 신규 미디어 커머스 ‘프리콩’과 협력해 웹예능 ‘게임부록’ 선보여

나아가 티몬은 미디어 커머스 시장에도 진출했다. 지난 2월 티몬은 아프리카TV의 디지털 콘텐츠 제작 자회사 ‘프리콩’과 협력하여 웹예능 ‘게임부록’을 선보였다. 이는 게임전문 토크쇼로, 게임판 ‘유퀴즈온더블록’을 표방한다.

박성호 티몬 제휴전략본부장은 “처음부터 ‘커머스’가 강도 있게 들어간다면 방송을 보는 시청자들도 부담스럽고, 재미도 없을 것이라 생각해 커머스보다는 콘텐츠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며 “우리의 핵심은 콘텐츠이기 때문에 재밌는 콘텐츠 스토리텔링에 자연스레 상품을 연결시키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티몬의 미디어 커머스가 매출 실적에 별다른 효과를 주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디어 커머스는 매체를 의미하는 미디어(Media)와 상업을 뜻하는 커머스(Commerce)의 합성어다. 이는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한 뒤 상품과 연계해 소개하는 전자상거래로, 웹드라마, 웹예능 등 다양한 영상 콘텐츠로 상품을 홍보하고 판매한다. 일반적인 홈쇼핑 및 인터넷쇼핑과는 결이 다른 미디어 커머스는 최근 간접광고(PPL)의 주 무대였던 TV의 영향력 하락에 따라 그 자리를 노리고 있다. 통계청과 시장조사업체 이마케터에 따르면 국내 미디어 커머스 시장은 지난해 기준 106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TV홈쇼핑 업계와 라이브 커머스 업계의 규제 필요성에 대한 입장

한편 지난 8월 TV홈쇼핑업계는 “라이브 커머스와 관련해 ‘방송과 통신의 경계에서 규제 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말하며 TV홈쇼핑과의 규제 형평성, 라이브커머스 사업자와 판매자 간 불공정 거래 행위, 허위·과장 광고로 인한 이용자 피해, 권리 보호를 이유로 규제 필요성을 주장했다. 지난 2021년 2월 통신판매중개업자의 통신 판매 영상 보존, 제공 의무를 포함하는 전자상거래법 개정안(양정숙 의원)이 발의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반면 일각에서는 공적 규제를 라이브커머스에 부과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입장이다. 한 방송 업계 관계자는 “최근 방송, 금융 등 전통 산업의 기업이 유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혁신 기업에 대해 동일한 전통 규제를 적용해야 한다는 논리로 ‘동일범주 동일대우의 원칙’을 차용하고 있다”며 “그러나 이는 규제 형평에 기반한 ‘동일범주 동일대우의 원칙’에 대한 깊은 오해”라고 밝혔다.

지난 1월 한국인터넷기업협회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미디어 지형과 합리적 규제체계 마련 방안’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미디어 발전의 역사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성격에 대해 분석한 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와 기존 방송과의 차이점, 해외의 입법 동향 등을 바탕으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산업의 성장을 위한 법‧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안정상 수석전문위원은 “시대가 변화하고 미디어 시장의 확장이 이뤄질 때 규제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항상 존재한다”며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시장은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므로 앞으로도 계속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는 방송과 분명히 구분된다”며 “이 서비스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법상 지원 규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