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음료 들고 나갔다 ‘횡령’ 범죄자 된 종업원, ‘MZ 경보’ 다시 수면 위로

MZ세대의 ‘자기중심적 사고’, “카페 횡령도 같은 맥락” MZ ‘3요’ 주의보, “이걸요? 제가요? 왜요?”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조용한 사직’, 태도 변화는 MZ세대에 달려 있어

사진=UTOIMAGE

카페 종업원이 근무 중 스스로 음료를 만들어 마신 행위는 횡령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사업주가 일하면서 음료를 마시라고 한 사실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3,000원짜리 유자차를 카페 밖으로 가지고 나가 남자친구에게 건넨 행위는 횡령이라고 법원은 판단했다. 이 같은 법원 판단에 일각에선 “MZ세대의 자기중심적 사고가 결국 일을 만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MZ세대 특유의 사고와 태도가 사회적 문제를 넘어 법적 문제로까지 번지기 시작했단 것이다.

법원 “유자차 밖에 들고 나간 건 횡령”

3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법 서부지원 김현주 판사는 횡령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카페 종업원 A씨에 벌금 30만원의 선고를 유예했다. A씨는 지난해 3월부터 4월까지 부산 강서구의 한 카페에서 종업원으로 일하면서 총 2만1,000원 상당의 음료를 횡령한 혐의를 받는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A씨는 3,000원 상당의 유자차를 컵에 담아 카페 밖에 있는 남자친구에게 건넸으며, 이를 포함해 총 7회에 걸쳐 근무 도중 직접 음료를 만들어 마셨다. A씨는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사업주가) 음료를 마시지 말라는 얘기를 한 적은 없고 일하는 도중에 음료를 1~2잔 마시는 것은 괜찮다고 생각했다”고 일관되게 진술했다.

이에 법원은 A씨가 스스로 음료를 만들어 마신 건 문제가 없다고 봤지만, 남자친구에게 유자차를 건넨 행위를 횡령이라고 판단했다. 김 판사는 “피해자(사업주)는 수사기관과 법정에서 A씨에게 일하는 도중에 음료를 1~2잔 마시는 건 괜찮다고 생각했지만 마음대로 음료를 먹으라고 한 사실은 없다고 진술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A씨는 카페 오픈 준비를 하면서 음료를 밖으로 갖고 나가 남자친구에게 건넸는데, 음료는 엄연히 카페 영업을 위한 자산”이라며 “근로자가 사업주의 명시적 허락 없이 이를 영업장 밖으로 반출하는 건 일반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경험칙에 부합한다”고 지적했다.

확산되는 ‘MZ세대 혐오론’, 왜?

최근 기업 등 사회적 환경에서 MZ세대를 향한 혐오론이 점차 커지고 있다. 물론 MZ세대 전체를 통틀어 일반화하는 건 문제가 있지만, 실제 일부 MZ세대의 행동은 ‘선을 넘었다’는 게 중론이다.

일례로 한 스타트업에 종사하는 B씨는 회사 급여로 지급되는 ‘식대’를 ‘현금’으로 달라고 주문했다. 기업의 복지 자금은 세금을 내는 체계도 다르고, 법적으로도 기본적인 급여와는 아예 다른 계열로 지정돼 있다. 복지 자금 성격이 강한 식대를 현금으로 지급하게 된다면, 이는 해당 직원에 대한 ‘급여’가 된다. 그러나 B씨는 자신의 요구를 ‘정당한 요구’로 판단, 회사에 불만을 제기하고 나섰다. MZ세대의 중요한 문제점 중 하나로 거론되는 자기중심적 사고 및 이기적 사고가 잘 드러나는 사례다.

실제 일부 MZ세대는 자신의 잘못을 생각 않고 모든 결과를 타인의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강하다. 한때 사회적 논란으로 불거진 바 있는 맞춤법 논란도 이와 비슷한 맥락이다. 자신이 맞춤법을 모른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왜 그렇게 헷갈리는 말을 쓰느냐’고 반문하는 모습은 여타 세대들이 보기에 상당히 부정적이다.

사진=UTOIMAGE

‘세대 문제’만 따질 건 아니지만

최근 대기업 임원들 사이에선 MZ세대의 이른바 ‘3요’ 주의보가 자주 오르내리고 있다. ‘3요’는 상사의 업무 지시에 ‘이걸요?’, ‘제가요?’, ‘왜요?’라고 되묻는 직원들의 반응을 3종 세트로 묶은 신조어다. 상사의 지시에 군말 없이 따르는 게 사회적 미덕이던 기성세대의 시각에선, 이 같은 MZ세대는 업무 능률과 사기를 떨어뜨리는 ‘오피스 빌런’들이다.

최소한의 일만 하겠다는 ‘조용한 사직(quiet quitting)’도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다. 채용 플랫폼 사람인이 지난해 12월 직장인 3,92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70%가 “딱 월급 받은 만큼만 일하면 된다”고 응답했다. 특히 20대와 30대 직장인의 78.5%, 77.1%가 이렇게 답한 반면, 40대(59.2%)와 50대(40.1%)로 갈수록 그 비율이 낮아졌다. 이른바 MZ세대가 상대적으로 ‘조용한 사직’에 더 참여하고 있는 셈이다.

물론 조용한 사직을 무조건 ‘세대 문제’로 바라봐선 안 된다. 리더십 문제 또한 조용한 사직의 큰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MZ세대 사이의 ‘블루 감정선’과 자기중심적 사고가 조용한 사직 등 반(反)기업적 태도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우리가 직면한 사회 현상은 기성세대와 MZ세대가 함께 헤쳐 나가야 할 길이다. 다만 MZ세대의 ‘태도’ 문제는 스스로가 고쳐 나가야 할 문제임을 스스로 깨달을 수 있어야 한다.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