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 늘려도… ‘달걀값’ 고공행진, 설 앞두고 과일값도 폭등

달걀

공급 늘렸는데도 달걀 가격 '고공행진'…과일값도 들썩
사진=연합뉴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해 급등한 달걀 가격으로 인해 공급량이 늘어나는 등의 조치가 있었다. 그러나, 달걀 가격의 오름세는 꺾이지 않고 있다.

설 성수기를 앞두고 사과, 배 등 주요 과일의 가격도 상승하고 있다.

31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 29일 기준 달걀 한 판(특란 30개)의 소비자가격은 전날보다 97원 올라 7천350원을 기록했다.

달걀 한 판 가격이 지난 27일 6천761원에서 사흘 새 8.7%나 급등한 것이다.

이는 평년보다는 37.7%, 지난해보다는 38.8%, 지난달보다는 30.6%가 높은 수준이다.

정부가 달걀 가격의 안정화를 위해 지난 26일 미국에서 달걀을 수입해 시중에 유통하고, 정부 비축 물량도 단계적으로 푸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달걀 가격은 좀처럼 안정화되지 않고 있다.

아직 공급 물량이 시장가에 영향을 미칠 만큼 충분하지 않고, 고병원성 AI 확산으로 인해 산란계를 포함한 가금류 살처분 마릿수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

공급 늘렸는데도 달걀 가격 '고공행진'…과일값도 들썩
사진=연합뉴스

달걀뿐만 아니라 사과, 배 등 주요 과일 가격도 설 성수기를 앞두고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후지사과 상품 10개의 소매가격은 지난 29일 기준 3만3천511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2만792원이나 평년의 2만1천299원보다 1만원 이상이 훌쩍 뛴 금액이다.

신고배 상품 10개의 소매가격 역시 4만7천808원으로 1년 전 3만2천96원, 평년 3만1천345원보다 1만원 이상 비쌌다.

단감 상품 10개의 소매가격은 지난해(1만929원)나 평년(1만33원)보다 3천원가량 비싼 1만3천625원을 기록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는 최근 내놓은 ‘주요 과일 설 성수기 출하 속보’ 자료에서 설 명절을 앞두고 사과, 배, 단감의 출하량이 감소하며 가격이 지난해보다 높은 수준에서 형성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설 전 2주간(1.29∼2.11) 사과 출하량은 3만900t으로 지난해보다 12.3% 감소했다. 상품 5㎏ 상자의 가격은 지난해(1만8천63원)의 두 배에 가까운 3만1천∼3만5천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같은 기간 배 출하량 역시 지난해보다 15.6% 감소한 2만5천600t으로, 상품 7.5㎏ 상자의 예상 가격은 3만8천∼4만2천원이다. 지난해 동량의 배 가격은 2만3천100원이었다.

설 전 1주간(2.5∼11) 단감 출하량은 2천100t으로, 지난해 대비 6.8%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상품 10㎏ 상자의 가격은 지난해 2만8천327원보다 1만원 이상 상승해 3만9천∼4만2천원 가량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관계자는 “설을 앞두고 성수품 방출물량을 확대해 장바구니 부담을 덜고, 원산지 일제 단속 등을 통해 부정 유통을 차단하겠다”고 전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