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게임스톱’ 공매도 기관, “항복 안 했다… 대대적 반격 준비 중?”

미국의 공매도 기관투자자들이 게임 유통업체인 게임스톱 거래로 손실을 봤다. 그러나 일각에서 “대다수는 ‘항복’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대대적인 반격을 준비 중”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앞으로 게임스톱 등 특정 종목의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금융정보 분석업체인 S3 파트너스에 따르면, 공매도 투자자들은 이번 ‘개인과 공매도 세력 간 전쟁’ 이후 총 197억5000만달러의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9일 하루 손실액만 80억달러에 달한다.
하지만 게임스톱 주가가 급등했던 지난 주 공매도 주식 총량은 500만 주가 감소하는 데 그쳤다. 주식 비중으로 따지면 단 8%만 감소한 셈. 큰 손실 후 청산에 나선 공매도 기관은 극히 일부이고, 새로운 공매도 펀드들이 계속 생겨나고 있는 것이 그 이유로 꼽힌다.
또한, 대다수 공매도 기관들은 종전의 ‘주가 하락 포지션’을 그대로 유지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상 처음으로 개미들이 공매도 기관과 전쟁해 승리를 거뒀다”는 분석은 사실이 아니라는 것.

한편,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빌려 판 뒤 나중에 가격이 하락하면 되팔아 차익을 챙기는 투자 기법이다.
S3 파트너스의 예측 분석 전문가인 아이호 두사니스키는 “대다수 공매도 기관들의 보유 주식에 별로 변동이 없었다는 게 정확한 사실”라며 “상당수가 숏커버링(공매도 후 주가 상승 때 손실을 줄이기 위해 주식 재매수에 나서는 것)에 나섰다는 소식 역시 오보”라고 날카롭게 분석했다.
게임스톱 주가는 이달 중순까지만 해도 주당 20달러 밑에서 변동했다. 그러나 개인 투자자들이 “공매도 세력에 본때를 보여주자”고 힘을 모으기 시작하며 29일 325달러까지 치솟았다. 이달 상승률만 따져도 무려 1600%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