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전 중기부장관, “토지임대부로 ‘반값 아파트’…평당 1000만원 유지할 수 있다”

박영선 전 장관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임대나 전세가 아닌 분양으로 내 집 마련의 꿈을 실현하게 해드리겠다”고 말하며 이같이 밝혔다. 박영선 전 장관이 언급한 ‘토지임대부’란, 토지의 소유권은 토지임대주택 건설사업의 시행자가 소유하고, 주택 및 공공복리시설 등에 대한 구분소유권은 주택을 분양받은 자가 가지는 주택을 말한다.

박영선 전 장관은 “이번 4·7 보궐선거는 서울의 미래 100년 좌표를 설정하는, 서울이 디지털경제 시대에 세계를 선도하는 도시를 만들 수 있느냐를 가르는 선거”라며 “문재인 정부에서 한국이 이탈리아를 제치고 1인당 국민총소득(GNI) G7 국가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좌표를 제대로 설정해 서울을 재도약시켜야 한다”며 “서울은 절대로 정쟁의 대상이 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서울 강남 지역 노후아파트의 재건축·재개발 허용 방침과 관련해서는 “공공커뮤니티 개념을 집어넣어 개발 이익을 윈윈하는 방식으로 가져가야 한다”며 소신을 드러냈다.
그는 “2011년에는 오세훈 전 시장이 무상급식이라는 시대의 화두를 읽지 못했기 때문에 중도 사퇴한 것”이라면서 “뉴타운 개발 이익은 엉뚱한 사람이 가져갔고, 위에서 밑으로 내려오는 불도저식의 재개발에 대한 피로감도 컸다”고 평했다.

박 전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이 임기 5년 차인 현재 국정지지도 40%대를 유지하는 데 대해서는 “대전환 시대를 관통하는 ‘한국판 뉴딜’ 청사진을 제시하고, 공정사회를 만들려는 노력에 대한 평가”라며 “다만 그 과정에서의 비판은 겸허히 수용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야권의 후보 단일화 논의에 대한 견해를 질문받자 “별 관심이 없다. 우리는 우리의 일을 해야 한다”며 소신을 밝혔다. 한때 민주당에 함께 몸담았던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에 대해서는 “2012년 대선 때 단일화 협상도 해봤고, 2014년에는 당대표와 원내대표의 관계였다. 아직은 말할 시기가 아니다”라며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