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LNG선 사업, 韓·中에 밀리자… 세계 최초 ‘탈석탄선’으로 승부수 던졌다

한국에 완전히 밀린 日조선…세계 최초 '탈석탄선'으로 반격 [정영효의 일본산업 분석]

일본 조선사들이 탈석탄시대를 맞이하며 이산화탄소 운반선, 수소 운반선 등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자, 차세대 선박들을 세계 최초로 속속들이 개발하고 있다. 수주 경쟁에서 한국과 중국에 밀리기 시작하자 차세대 선박 개발로 또다른 승부수를 던지는 것으로 보인다.

31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최대 조선사인 미쓰비시중공업은 세계 최초로 이산화탄소 운반선을 개발, 2025년 실용화할 계획이다. 계열 조선회사인 미쓰비시조선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개발에 착수한다는 소식이다.

이산화탄소 운반선은 발전소와 제철소, 화학공장 등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액화가스로 변환시켜 운송하는 방식을 가진다. 이산화탄소는 액화시킬 때 압력에 의해 드라이아이스로 변해버리기 쉽다. 미쓰비시중공업은 영하 50~영상 30도에서 압력을 조절하는 액화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했다고 전해진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70년께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량의 15%가 이산화탄소 회수·이용·저류(CCUS) 방식을 거칠 것으로 예측한다. 일본에서 역시 이산화탄소를 화학제품·연료 등으로 가공하거나 콘크리트로 재활용하는 실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차후 운송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일본 2위 조선사인 가와사키중공업은 갈탄에서 생성된 수소를 액화시켜 운반하는 액화수소운반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냈다. 2030년까지 대형화에 주력해 본격적으로 상용화할 계획이다.

액화수소는 증발하기 쉽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가와사키중공업은 수소를 영하 253도까지 냉각시켜 액화하고, 독자개발한 탱크에 장시간 초저온 상태로 보존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수소를 선박 연료로 활용하는 기술 개발 역시 검토 중이다.

재팬마린유나이티드는 액화암모니아가스 운반 전용선 개발을 세계 최초로 착수했다. 암모니아는 수소를 운반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탈석탄 시대를 맞이하며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세계 최대 LNG 수입국인 일본은 1980년대까지 세계 LNG선 수주 1위를 지켜왔으나, 성능과 가격경쟁력을 모두 갖춘 한국에 자리를 1위 자리를 내준 뒤 크게 휘청였다. 지난해까지는 5년 연속 LNG선 수주가 ‘제로(0)’에 달했다.

최근에는 가격 경쟁력을 내세우는 중국에도 크게 밀리고 있는 모습이다. 일본선박수출조합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조선사들의 수주량은 733만총t으로 전년보다 20% 감소했다. 수주 잔액은 1년6개월로, 조선사 운영의 적정 수준으로 평가되는 2년에 못 미치는 결과다.

탈석탄화 시대에 발맞춘 선제적 선박 개발은 수주 경쟁에서 밀린 일본 조선업계가 옛 명성을 되찾기 위해 던진 반격으로 분석된다. 일본 조선사들이 개발한 이산화탄소 운반선, 수소 운반선, 암모니아 운반선 모두 지금껏 LNG 운반선에서 사용되던 탱크저장 기술을 활용한 것이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