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광고주가 원치 않는 콘텐츠 피할 수 있는 ‘기피 토픽 선택’ 기능 도입 예정

페이스북, 광고주가 원치 않는 콘텐츠에 광고 안 붙게 하기로

세계 최대 SNS 페이스북이 앞으로 광고주들이 원치 않는 콘텐츠 옆에 광고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도입할 예정이라 밝혔다.

경제매체 CNBC는 페이스북이 29일(현지시간) 뉴스피드에 해당 내용의 ‘토픽 배제’ 기능을 도입하기로 했으며, 소규모 광고주들과 함께 이에 대한 시험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예를 들어, 아동용 서적 판매 회사가 살인 사건 뉴스 게시물에 자사 광고가 붙지 않기를 원한다면 ‘범죄와 비극적 사건’이라는 토픽을 배제하도록 선택지를 준다는 것이다.

 

또 ‘뉴스와 정치’와 ‘사회 이슈’ 등의 토픽 역시 광고주들이 피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줄 예정이다.

광고주들은 여태껏 이런 ‘브랜드 안전성’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왔다. 자신들의 광고가 SNS에서 기피 콘텐츠와 나란히 노출되면 브랜드 이미지나 가치에 손상이 가기 때문에 이를 막으려는 의도다.


페이스북은 해당 기능을 개발하고 시험하는 데 올해가 꼬박 들 것이라고 밝혔다.

페이스북은 세계 최대 동영상 공유 사이트인 유튜브, 소셜미디어 트위터 등과 협력해 ‘책임 있는 미디어를 위한 글로벌 연맹'(GARM)이란 단체를 통해 광고주·광고대행업체와 함께 보이는 콘텐츠와 광고가 서로 연계되도록 하는 작업에 매진해왔다.

GARM은 광고주와 미디어 업체, 정보기술(IT) 업체 등이 대거 참여한 조직으로, 온라인상의 안전 기준 개선을 목적으로 삼고 있는 단체다.

이들이 협력해 작업하고 있는 사안들 중에는 해로운 콘텐츠에 대한 정의, 독립적 감사기구, 광고 규정 등이 포함된다.

한편, 페이스북은 지난해 7월 광고주들의 보이콧(불매운동)에 직면한 바 있다.

혐오 발언과 허위 정보에 대한 소극적인 대처를 이유로 삼아 주요 광고주 1천100여곳이 일정 기간 페이스북에 광고를 내지 않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해당 보이콧 사태 후 일부 주요 광고주들이 페이스북에 혐오스럽다고 느껴지는 콘텐츠를 배제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하라고 사적으로 압박해왔다”고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