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흑자·소비자물가 얼마나 늘었나… 내달 공개되는 경제 주요 뉴스


자영업자 손실보상 제도화 방안이 계속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다음 주 지난해 국제수지 결과와 최근 소비자물가 동향이 발표될 예정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자영업자 손실보상 제도와 관련, “아직 어떤 방안도 구체적으로 마련되지 않은 시점으로, 차분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발언했다.

현재 정부는 자영업자 손실 보상 제도화 방법과 대상, 기준, 소요, 재원, 외국 사례 등을 검토하고 있다.

한편, 통계청은 다음 달 2일 ‘1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공개할 예정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0.5% 상승한 바 있다.

지난해 4차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된 통신비 지원 효과가 사라지며, 소비자물가 상승 폭은 한층 커졌을 것으로 예측된다.

작년 경상흑자 얼마나 늘었나…자영업자 보상 논의 이어져

이어, 한국은행은 오는 5일 ‘2020년 12월 국제수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작년 11월의 경우 경상수지는 89억7천만달러(약 9조7천952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1∼11월 누적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총 639억4천만달러로, 전년도 같은 기간(556억4천만달러)보다 24.9%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코로나19의 충격에도 불구, 하반기 수출이 예상보다 호조를 보였고 수입과 해외여행 등이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2월까지 포함하여 지난해 총 연간 경상수지 흑자가 2019년보다 얼마나 늘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은은 1일 ‘코로나19 확산과 사회적 거리두기가 임금·소득분배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내놓는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다음 달 5일 라임 펀드와 디스커버리 펀드를 판매한 IBK기업은행에 대한 제재심의위원회를 재개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지난 28일 제재심을 개최해 디스커버리자산운용과 기업은행에 대한 검사 결과 조치안을 심의했으나, 채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금감원은 앞서 펀드 판매 당시의 김도진 기업은행장에 대한 문책 경고의 중징계를 사전 통보한 바 있다.

이번 제재심은 사모펀드 부실 사태와 관련된 은행권 첫 제재 절차라고 전해진다.

금감원은 기업은행에 이어 사모펀드 사태에 연루된 우리·신한·산업·부산은행에 대한 제재심을 2∼3월중 개최할 계획이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