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이노베이션, 헝가리에 최대 규모 배터리 공장 신설… ‘축구장 98개’ 크기 달해(종합3보)
SK이노베이션이 헝가리 이반차(Ivancsa)시에 역대 최대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추가 신설한다.
유럽 3공장에 해당하는 해당 신설 공장의 생산 능력은 30GWh으로, 글로벌 생산 기지 중 가장 큰 규모다.
투자 금액 역시 2028년까지 2조6천억원을 투입할 예정으로, 유럽 공장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SK 이노베이션은 전기차 배터리 신규 공장 투자를 위해 헝가리 자회사(SK Battery Hungary Kft)에 약 1조2천674억원을 출자한다고 29일 공시했다. SK 이노베이션은 전날 이사회에서 이같은 투자 계획을 의결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대규모 공장 신설은 “위기 속에서도 미래를 위한 과감한 선투자”라는 설명이다.
헝가리 이반차에 신설될 유럽 3공장의 생산 능력은 30GWh로 규모로, 헝가리 코마롬에 있는 1·2공장을 합한 것보다 1.5배 이상 큰 규모를 자랑한다.
올해 3분기에 착공을 시작하여, 2028년까지 순차적으로 총 2조6천억원(22억9천만달러)을 투입하는 장기 프로젝트다. SK이노베이션이 이번에 헝가리 자회사에 출자한 자금은 총 투자금액의 50%에 해당한다.
SK이노베이션은 헝가리 이반차 시에 공장 신설을 위해 약 70만㎡(21만평) 부지를 확보했다. 축구장 면적으로 환산하면 무려 98개에 달하는 면적이다.
2024년부터 공장을 본격 가동할 예정으로, 가동 시 전기차 43만대(1회 충전에 400km 이상 주행·70kWh 용량 기준) 분량에 해당하는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다.
이반차는 수도 부다페스트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50km 떨어진 지역이다. 철도·도로 등 물류·기반 시설이 준수하게 갖춰져 있으며, 대도시와 인접한 지역라 인력 수급도 용이하다는 점에서 최종 입지로 낙점됐다.
한편, SK이노베이션은 헝가리 정부와 협업해 이번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전해진다. SK이노베이션의 최고 경영진과 헝가리 정부 측은 이날 오후 화상으로 투자를 공식 결정하는 간담회를 했다.
간담회에는 헝가리 씨야르트 피테르(Szijjarto Peter) 외교통상부장관, 몰너 터보 (Molnar Tibor) 이반차 시장, 이식 로베르트 (Esik Robert) 투자청장 등이 참석했으며, SK이노베이션 측은 김준 총괄사장, 지동섭 배터리사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번 유럽 3공장 신설에 맞춰 전기차 배터리 생산 능력 목표치를 ▲ 2023년 생산능력 85GW ▲ 2025년 125GWh 이상으로 제시한 바 있다. 기존 목표였던 2025년 100GW에서 더욱 상향된 목표치를 가지게 된 것이다.
한편, 현재 SK이노베이션은 국내 서산공장(4.7GWh), 헝가리 1공장(7.5GWh)을 가동 중이다. 올해 추가로 중국 옌청과 혜주 공장을 20KWh 생산 규모로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또한, 현재 건설 중인 헝가리 2공장과 미국 조지아주 1공장은 각각 9.8GWh 규모다. 두 공장은 내년 1분기부터 생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미국 2공장(11.7GWh)도 2023년 양산을 목표로 건설 중에 있다.
이번에 신설이 결정된 헝가리 3공장까지 포함하면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생산 공장은 자그마치 6개로 늘어나는 것.
SK이노베이션은 이에 대해 “빠르게 성장하는 전기차 시장에서 사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더욱 공격적인 수주로 글로벌 선두 업체로 도약한다는 의지”라고 밝힌 바 있다.
코로나19의 장기화 여파로 석유·화학 사업이 부진함에 따라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연간 2조5천억원대의 사상 최대 적자를 기록했으나, 배터리 사업만 성장세를 나타냈다.

SK이노베이션은 올해를 친환경 전환의 원년으로 삼아, 유럽의 친환경 정책에 가장 부합하는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 꾸준히 주력할 계획이다.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경쟁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고, LG에너지솔루션과의 소송전 부담 역시 피해갈 수 없다. 즉 불확실성 요인이 큰 상황인 것. 그러나 그들은 위기를 과감한 투자로 돌파하는 전략을 택했다.
SK이노베이션은 컨퍼런스콜에서 현재 전기차 배터리 수주 잔고는 550GWh로, 매출액으로 환산하면 70조원 이상 수준이라고 공개하면서 “다임러, 현대차 등 기존 고객 외에 다양한 제조사들에 대한 신규 수주를 계속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김준 총괄 사장은 “경영 상황이 어렵지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완성하기 위해 미래 친환경 모빌리티 사업을 더욱 키우려는 결정”이라며 “이번 투자로 전 세계 전기차 산업 생태계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장기적으로 선도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