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시세 ‘급등’ 이유, “머스크 효과”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벤처경제 = 손수민 기자]

비트코인 시세가 29일 19% 가까이 급등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 계정 프로필에 ‘bitcoin(비트코인)’ 해시태그를 추가한 직후 급상승해 업계에서는 ‘머스크 효과’로 해석하고 있다.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에 따르면 29일 오후 5시50분 기준 3만2000달러(약 3574만원)에 머물던 비트코인 시세는 머스크 CEO가 비트코인 해시태그를 추가한 뒤 한 시간 만에 37990달러(약4243만원)까지 급등했다.

‘머스크 효과’로 특정 자산의 시세가 급등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6일 머스크 CEO가 자신의 트위터에 ‘게임스통크!!(Gamestonk!!)’라는 단어를 트윗한 이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 기업인 게임스톱의 주가가 시간 외 거래 시장에서 60% 넘게 상승했다. 업계에서는 그가 당시 공매도 세력에 맞서 게임스톱 주식을 매수하던 개인투자자들에 힘을 실어준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28일에는 도지코인(Dogecoin)이 머스크의 옹호 발언 이후 급등했다. 미 투자자 커뮤니티 월스트리트베츠(Wallstreetbets)가 이날 도지코인을 주목하며 시세가 상승한 가운데, 머스크 CEO가 트위터에서 패션잡지 ‘보그(Vogue)’를 패러디한 ‘도그(Dogue)’사진을 올리며 하루동안 800%가량 치솟기도 했다.
머스크 CEO가 언급한 자산들의 시세가 연이어 급등하자 여기에 투자한 ‘개미(개인 투자자)’들은 열광하는 반면 공매도 세력들은 큰 손실을 보며 악몽 같은 나날들을 보내고 있다. 게임스톱 주식을 대거 공매도 해온 유명 투자사 멜빈 캐피털은 이번 게임스톱 주가 폭등으로 조 단위의 손실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테슬라도 지난해부터 주가 급등이 이어지며 공매도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손실을 안겼다. 미국 금융정보 분석업체 S3파트너스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테슬라를 공매도한 투자자들은 401억달러(약 44조6000억원)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추산됐다.
머스크 CEO가 게임스톱, 도지코인, 비트코인 등을 지목하며 시세 급등을 유발한 것도 개미 군단에게 의도적으로 ‘지원 사격’을 해주기 위한 것이라는 추측이 나온다. 지난 28일 머스크 CEO는 트위터에 “소유하지 않은 집이나 자동차는 팔 수 없다. 그런데 소유하지 않은 주식은 팔 수 있다는 게 말이 되느냐”며 “공매도는 사기”라고 주장했다.
한편 2018년 머스크 CEO는 공매도 세력에 대항해 테슬라 상장폐지 계획을 발표하고 주가 상승을 유도했다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주가조작 혐의로 고발당해 2000만달러(약 223억원)의 벌금을 부과받은 바 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