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건수 증가 “자영업자 스미싱 주의보”

[벤처경제 = 손수민 기자]
29일 보이스피싱 탐지회사인 인피니그루에 따르면 올해 1월 악성 앱을 이용한 보이스피싱이 지난 달보다 64.0% 증가했다고 앱 ‘피싱아이즈’를 통해 확인했다. 특히 공공기관 사칭 건수는 같은 기간 72건에서 552건으로 급증했다.
보이스피싱 조직의 타깃은 주로 자영업자다. 주로 자영업자들에게 ‘3차 재난지원금 대상으로 선정됐다’는 식의 문자 메시지를 보내 속아 넘어가게 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지난 5일 통신판매업자 A씨는 “3차 재난지원금 대상에 선정됐다”는 문자 메시지를 받았다. 해당 문자 메시지는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 상담으로 진행하겠다며, 카카오톡 채팅방으로 유도했다. 이미 1,2차 재난지원금을 받았던 A씨는 채팅방으로 들어갔다가 이상함을 감지하고 황급히 빠져나왔다.
이 상황에 대해 BNK캐피탈 보이스피싱 담당자는 “최근 경기 악화 영향으로 자영업자들의 자금이 고갈되면서 저금리 대환대출을 미끼로 송금을 유도하는 경우가 눈에 띄게 늘었다”고 말했다. 이어 “저축은행 소상공인 대출 수요가 늘어나면서 대출 상담사들이 문자로 대출 광고를 보내는 경우가 많아지다 보니 소상공인들이 보이스피싱 문자를 가려내기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구글의 인터넷 브라우저 ‘크롬’을 흉내낸 악성 앱까지 나와 전문가들도 보이스피싱 구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단 악성 앱이 깔리면 보이스피싱 조직은 휴대전화 사용자가 누르는 문자나 숫자를 알 수 있게 된다. 계좌이체를 위해 미리 등록해 놓은 영문 및 숫자 비밀번호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앱을 깔고 나면 경찰이나 금융감독원으로 전화를 걸어도 보이스피싱 조직에 연결돼 ‘전화 가로채기’를 통해 신고를 차단한다.
보이스피싱 탐지 앱 개발사인 에버스핀 관계자는 “악성 앱이 수시로 나오는 데다 고도화되고 있다”며 “금융사들이 등록된 악성 앱만을 탐지하고 방어하는 ‘블랙리스트’ 방식보다는 특정 금융사 앱만을 허용하는 ‘화이트리스트’ 방식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하나은행은 이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고령층 위주의 ‘언제나 청춘 정기예금(최대 연 1.1% 금리)’이라는 보이스피싱 보상 상품을 출시했다. 해당 상품은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으면 1000만원을 보장한다. 지난달에는 92만1000원의 피해를 입었다가 피해액의 약 70%를 보상받은 첫 사례가 나오기도 했다.
이에 정부는 보이스피싱 신고를 미리 예방하고, 단속하고, 피해구제까지 울타리를 넓히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재난지원금 지급절차에 신청인의 계좌 비밀번호를 요구하지 않는다며, 자영업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금융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경찰청 등은 지난 6월 보이스피싱 척결 종합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종합방안은 크게 예방 및 차단, 단속과 처벌강화, 피해구제 방안으로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