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LH 직원 144명, 신도시 인접지 주택 소유… 투기 여부 가린다
국토교통부 공무원과 LH(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 144명이 3기 신도시와 인접한 경기 남양주 다산신도시, 고양 행신동, 하남 덕풍동 지역의 주택을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투기 논란 대상이 땅에서 주택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얘기다.
정부합동조사단는 “국토부 공무원 25명과 LH 직원 119명이 3기 신도시 개발지구와 인접 지역에 아파트 등 주택을 보유하고 있었다”며 “투기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사 참고자료로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지난 11일 밝혔다.
해당 직원들은 2013년 12월부터 현재까지 다산신도시와 행신동 덕풍동에서 토지가 아닌 아파트 빌라 등을 매입했다. 다산신도시는 남양주 왕숙지구, 행신동은 고양 창릉지구, 덕풍동은 하남 교산지구와 인접해 있다.
합조단 관계자는 “개발예정지역 옆 이미 개발된 지역에서 아파트를 거래한 사례를 말하는 것으로 불법 거래가 아닌지 조사해봐야 한다는 취지”라며 “기존 아파트를 매입한 것이어서 실거주 여부, 정확한 매입 시기와 경위 등을 조사하기 전에는 (투기로) 예단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3기 신도시 인접 지역 아파트는 지정 당시와 비교해 가격이 크게 뛰었다. 남양주 왕숙지구와 가까운 다산신도시 진건지구에 있는 다산동 ‘e편한세상 자이’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8일 9억3000만 원에 신고가를 경신했다. 3기 신도시 발표(2018년 12월) 전인 2018년 10월(4억2800만 원)과 비교해 5억 원 넘게 뛰었다.
이들 지역은 3기 신도시가 추진되며 집값이 뛰었다. 덕풍동 한 아파트 단지는 3기 신도시 발표 전인 2018년 11월 전용 84m²가 3억 원 중반에 팔렸지만 지금은 6억 원대로 가격이 급등했다. 행신동의 전용 130m² 아파트 역시 2019년 5월 창릉지구 발표 전에는 5억∼6억 원에 거래됐지만 최근 8억 원 중반대로 가격이 뛰었다. 다산신도시 역시 2018년 말 5억∼6억 원대였던 전용 84m² 아파트 시세가 최근 10억 원까지 올랐다.
고양 창릉지구 인근 행신동에서는 ‘서정마을 4단지’ 전용 84㎡가 지난달 15일 7억6500만 원에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고양 창릉을 추가 3기 신도시로 발표한 2019년 5월 직전에 거래된 4억6000만 원보다 3억 원 이상 올랐다. 이에 3기 신도시 개발 수혜를 노리고 인접 지역 주택을 매입한 게 아니냐는 의혹은 계속 불거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