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도 ‘ESG’ 대세 편승… 온실가스 감축 실적·봉사 실적 등 공시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공공기관에도 이른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반 경영이 확대될 전망이다. ESG는 친환경, 사회적 가치, 지배구조 개선 등 비재무적 요소를 일컫는다. 최근 민간 기업 사이에서 ESG 기반 투자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기획재정부는 ESG와 관련된 공공기관 공시 항목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

안전·환경 부문에서는 녹색제품 구매 실적과 온실가스 감축 실적 등 공시 항목을 새로 만들었다. 각 기관의 환경 보호 노력과 결과를 공개, 친환경 사업 확대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공공기관들은 올해부터 본격 시행되는 안전관리등급제에 맞춰 안전경영책임보고서도 공시할 의무가 생겼다. 안전관리등급제는 공공기관의 작업장, 연구시설, 시설물 등의 안전 위험 요소를 평가해 등급을 매기는 제도다.

일·가정 양립 부문에서는 가족돌봄휴가 사용 실적과 직장어린이집 지원 여부를 공시하도록 한다. 가족돌봄휴가는 근로자가 가족의 질병·사고나 자녀의 휴교 등의 사유로 사용할 수 있는 휴가다. 공무원은 1년에 10일을 사용할 수 있다. 정부는 코로나19 시기 가족돌봄휴가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사회공헌활동 부문에선 현재 자율 공시 중인 ‘봉사 실적’을 정식 공시 항목으로 변경했다. 공공기관 기부 실적도 공개할 예정이다. 이밖에 계약정보 세부 항목에 ‘혁신제품’으로 지정된 중소기업 제품 등의 구매량도 공시 대상에 추가했다.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 실적도 공개하도록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 방문자가 작년 1000만명을 넘어서는 등 공공기관 경영 정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ESG 관련 공시 항목이 늘면 그린뉴딜, 혁신조달 등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