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상승기, “실적 좋은 ‘중형 가치주’ 주목해라”… 주도주 변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 국채 금리가 최근 급등세를 타며, 국내 주식시장에서도 주도주 색채가 변화하고 있다. 그동안 상승장에서 주목받았던 기술주 등 성장주는 약세로 돌아섰으나, 철강·에너지·소재·은행주 등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종목의 강세가 두드러지는 추세다.

미 국채 금리의 가파른 상승세는 인플레이션과 경기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 때문으로 해석된다. 증권업계에서는 채권 금리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실적 상승 동력이 크면서도 저평가된 중형 가치주를 눈여겨보라는 조언이 나오고 있다.

○철강주 2월 수익률 10%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월 한 달간 국내 주식시장에서 주가 상승률이 가장 높게 집계된 업종은 철강주였다. 철강주는 대표적인 경기민감주로 꼽힌다. 국내 철강 기업 10개 종목으로 구성된 KRX철강지수는 지난달 9.87%가 상승했다. 이 기간 코스피지수가 1.23% 오르는 데 그치며 횡보한 것과 비교해볼 때 유독 상승세가 돋보인다. 철강 업종 주도주인 포스코는 지난달 14.66%가 올랐다. 이 밖에 풍산(28.42%), 영풍(20.16%), 세아베스틸(20%), 고려제강(17.02%) 등도 주가 상승폭이 상당히 높았다.

오랫동안 부진했던 은행주 역시 최근 금리 상승세와 함께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KRX은행지수는 지난달 9.50% 상승, 철강지수 다음으로 상승폭이 높았다. 한 달 동안 하나금융지주(13.48%), JB금융지주(12.55%), DGB금융지주(10.99%), 우리금융지주(8.86%), KB금융(8.68%), 신한지주(7.50%) 등 모든 종목이 강세를 보였다. 은행은 금리가 오르면 순이자마진(NIM)이 증가해 수혜를 보는 대표 업종 중 하나다.

철강주와 은행주는 한 달 전까지만 해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난 1월 지수 수익률은 은행주가 -6.8%, 철강이 -3.34%로 약세였다. 철강과 은행 외에도 운송(8.24%), 보험(7.96%), 건설(5.12%), 방송통신(4.23%) 등의 업종 지수도 2월 반등세를 보였다. 반면 1월 가파른 코스피지수 상승세를 이끈 자동차와 정보기술(IT) 업종은 2월 약세로 전환했다. 1월 21% 올랐던 KRX자동차지수는 지난달 -2.04%가 하락했다.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도 바이오·2차전지 등 성장주 ETF는 하락폭이 크지만, 원자재·에너지·철강·여행 관련 상품은 강세였다. ‘TIGER KRX바이오 K-뉴딜’ ETF는 지난달 10.79% 하락했다. 국내 주식형 ETF중 가장 큰 하락률이다. 반면 ‘KODEX 철강’ ‘TIGER 여행레저’ 등은 10% 안팎의 상승률을 기보였다. 또 원자재 ETF인 ‘TIGER 구리실물’(26.13%), ‘KODEX WTI 원유선물’(20.74%) 등도 급등했다.

○실적 좋아질 중형 가치주 주목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성장주 주도의 지수 상승장이 조정을 받고 있는 상황인만큼, 실적 개선 모멘텀이 있는 중형 가치주를 주목할 때라는 조언이 나온다.

올해는 지난해 유동성이 끌어올리던 시장에서 실적 장세로 전환하며 종목별로 ‘옥석 가리기’가 중요해질 때라는 것이다. 이경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최근 코스피 대형주의 실적 상승 동력이 둔화되면서 지수 상승 기대는 줄어든 반면, 중형주 그룹에서 시장 대비 알파(α) 수익을 낼 종목에 대한 수요는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오화영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 펀드매니저 역시 “코스피200 등 대기업과 중소형주의 주가 괴리가 역대급으로 벌어졌다“며 ”다양한 업종에서 ‘V자’로 회복 중인 기업들이 탄력적으로 움직이면서 ‘갭 메우기’ 장세를 보일 수 있다“고 봤다.

증권업계에서는 올해 실적 개선이 예상되면서 주가 저평가 매력이 돋보이는 종목으로 효성티앤씨, HMM, 에스엘, 금호석유, 세아베스틸, 삼성증권, 테스, 한국금융지주, 코오롱인더, BNK금융지주, 삼성화재, 롯데쇼핑, 미래에셋대우, S-Oil, 두산인프라코어, 에스엠, 하나머티리얼즈, 한섬, 연우, 원익QnC, F&F, 인크로스 등이 꼽힌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