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공시설물과 제조시설에 5G 기반 디지털트윈 적용”
정부가 5세대(5G) 이동통신 기반 디지털 트윈 사업 확대에 나선다. 공공부문에서 신기술을 전략적으로 선도해 초기 시장 창출을 지원하겠다는 목표다.
‘5G 기반 디지털트윈 공공선도’ 사업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한 공공시설물과 기업·산업시설물에 5G·디지털트윈 등 신기술을 적용해 시설물 안전관리 체계를 실증하는 프로젝트다. 지난해 5개 지역 50개 시설물에 5G·디지털트윈 기반 안전 관리시스템을 실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지난해 12월 ‘2020년 5G 기반 디지털 트윈 공공선도 사업 완료 보고회’를 열었다. 광주시청 컨소시엄 등 34개 기관이 사업 성과를 공유했다.
광주시청 컨소시엄은 재난 대응을 위해 디지털 트윈 개념을 적용했다. 영호남 달빛동맹과 육군사관학교가 참여해 민관군 27개 시설물을 가상 시스템의 구현 대상으로 삼았다. 5G와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시설 안전관리와 재난 대응 시스템을 만들었다. 가상의 환경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선제적 대응을 갖추려는 목적이다.
민간기업인 (주)고려정밀 사례도 주목받았다.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했다. 지능형 폐쇄회로TV(CCTV)를 설치하고 공장 생산설비를 모니터링으로 연계해 플랫폼을 시범 적용했다.
김창용 NIPA 원장은 “디지털트윈 등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신기술은 디지털 비대면 시장의 기반을 마련해 한국판 뉴딜을 주도할 수 있다”며 “공공시설물뿐만 아니라 민간 제조시설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산업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사례를 바탕으로 정부는 각 플랫폼 분야 기업 간 컨소시엄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적용되는 과기정통부의 ‘5G 기반 디지털 트윈 제조산업 적용 실증’ 공모안내서에 따르면 정부는 최소 3년간의 유지 보수 의무를 조건으로 혁신 플랫폼 기업들의 컨소시엄을 지원한다. 제조 공장 보유 기업이나 신규 기술력과 사업화 의지가 높은 요소기술 전문 기업이 대상이다. 과기정통부는 다음 달 과제 신청 접수를 완료하고 본격적인 지원 대상자를 가린다는 계획이다.
NIPA는 지난 16일 ‘2021년 5G 기반 디지털트윈 공공선도 사업 통합설명회’를 개최했다. 행사는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에 따라 코로나19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50인 미만으로 사전 등록을 받아 진행했다.
올해는 기존 ‘5G 기반 디지털트윈 시설물 안전 실증사업’과 ‘5G 기반 디지털트윈 제조산업 적용 실증사업’이 신규로 추진된다.
5G 기반 디지털트윈 시설물 안전 실증사업은 국민 이용도가 높은 중·대형 시설물, 5G 기반 디지털트윈 제조산업 적용 실증사업은 제조시설을 갖춘 중소·중견기업 대상으로 총 11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최종 선정된 기업은 올해 12월까지 플랫폼 및 연계 서비스 기획·개발·적용을 위한 실증을 지원받고 디지털트윈 시스템의 품질 및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협업한다.
윤지석 NIPA ICT신산업팀장은 “시설물 안전관리 체계 개선과 코로나19로 위축된 산업계의 혁신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디지털뉴딜 사업의 일환인 5G 기반 디지털트윈 공공선도 사업을 통해 5G, 디지털트윈 등 ICT 융합 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정부혁신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