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 금융위원장은(맨 오른쪽) 19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관에서 주요 정책금융기관장과 만나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 조치를 오는 9월까지 연장하기로 뜻을 모았다. /금융위원회 제공
네이버와 카카오페이 등 빅테크(대형 정보기술업체)의 거래정보를 금융결제원에 제공하도록 의무화하는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을 두고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 간 갈등이 격해지고 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19일 한국은행이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을 ‘빅브러더법’이라고 비판한 점에 대해 “지나친 과장”이라고 공개적으로 반박했다.
은 위원장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관에서 정책금융기관장들과 간담회를 가진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은이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에 대해 ‘빅브러더’라고 한 건 오해”라며 “조금 화가 난다”고 발언했다.
앞서 한국은행은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이 빅테크의 모든 거래정보를 금결원에 제공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금융위가 수집된 정보를 제한 없이 들여다볼 수 있게 된다는 ‘빅브러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은 위원장은 이에 대해 “쉽게 말해서, 저의 전화 통화 기록이 통신사에 남는다고 통신사를 빅브러더라고 할 수 있냐”며 “말이 안 되는 소리”라고 단호하게 일축했다.
이어 “사건·사고가 나면 검찰이 판사 영장을 받아 통신사에 통화 기록을 달라고 해서 그때 보는 것”이라며 “사건이 있을 때 금융당국이 법에 의해 자료를 받아 누가 자금의 주인인지를 보려는 것이지, 그걸 누가 매일 CCTV 보듯 보겠는가”라고 날카롭게 반문했다.
한편, 한은은 금결원의 거래 정보 수집을 두고 “가정폭력 막으려 집집마다 CCTV 놓는 꼴이며 세계에서 유례가 없다”고 맹비판해왔다. 은 위원장은 “현재 우리가 하는 자금이체 정보도 금결원으로 가는데, 지금 한은이 이를 관장하고 있다”며 “비판을 해도 그런 식으로 해선 안 되는 것”이라고 받아쳤다.
은 위원장은 단기법정관리(P플랜)를 준비 중인 쌍용자동차와 관련해서는 “살리는 게 괜찮다. 산업은행과 논의했다”며 “(전날) 국회 정무위원회 답변이 아직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hyeongjung.ahn@siai.org
As a partner who will navigate the age of information overload, we will strive to provide only essential and truthful information. I support everyone who lives today.
한미 정상 공동성명에서 대만 문제가 처음 언급된 것과 관련 중국은 “내정 간섭을 용납할 수 없다”며 반발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4일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은 한미공동성명 내용에 우려를 표한다”며 “대만 문제는 순수한 중국 내정이다. 어떤 외부 세력의 간섭도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관련 국가들은 대만 문제에서 언행을 신중해야 하며 불장난하지 말아야 한다”면서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서는 “각국이…
금융당국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의 활용성 검증에 본격적으로 손을 걷어붙였다. 가상환경에서의 기술 실험과 실거래 테스트를 거쳐 CBDC 도입에 대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마련하겠다는 복안이다. 다만 CBDC는 화폐 특성상 자칫 정부의 민간 통제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농후한 만큼, 전문가들은 CBDC 도입 이전 정부의 충분한 사전 검토는 물론 민간 및 금융 중개기관의 CBDC 입법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새벽 2시 마감시간에도 26개 테이블이 꽉 차 있었습니다.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 시행 후 손님이 그 전보다 두 배 정도 늘었네요.”(서울 신촌 전통주점 사장 A씨) 이달 들어 위드 코로나가 시작되며 대학 캠퍼스 주변이 북적이기 시작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던 식당·카페 등 자영업자들은 “한숨 돌렸다”는 반응이다. 반면 백신패스가 적용되는 일부 다중이용시설 업주들은 “오히려 상황이 악화됐다”며 한숨을…
Z세대 취업과 관련한 또 하나의 문제점으로 정보 수집 역량이 굉장히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회사에 대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홈페이지를 방문해 본다거나 관련 기사를 검색해 보는 등의 행동은 일절 하지 않은 채 면접장에서 ‘그걸 왜 찾아봐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표정을 짓는 Z세대가 10명 중 8~9명 정도 된다는 것이 기업 관계자들의 공통된 견해였다. 학원, 대학원은 가는데 인턴십은…
과학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우리는 무한한 컨텐츠 바다 속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만큼 저작권 침해 사례도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대표적으로 불법 다운로드, 복제, 공유가 있다. 영화를 비롯해 소설, 시, 드라마, 음악, 그림 등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을 법적으로 ‘저작물’이라 칭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저작물에 대한 창작자의 권리를 ‘저작권법’으로 보호하며 위반 시 형사처벌할…
가짜 유튜브 영상을 제작하고, 해외 유명 가상화폐 거래소의 이름을 도용하며 사기 행각을 벌인 일당이 적발됐다. 14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최근 가상화폐로 돈을 벌 수 있게 해준다는 가짜 홍보영상으로 수백억 원을 끌어모은 뒤 잠적한 가상화폐 거래소 사건과 관련해 자금책과 모금책 등 사기조직 간부급 9명을 구속, 10명을 불구속입건했다. 이들은 지난 4월 1일 ‘비트바이’라는 이름의 캐나다 거래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