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단체, “거리두기 완화, 환영하지만 미봉책… 실질적 보상 필요”

소상공인 단체들이 13일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하향 조정 결정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그러나 수도권의 음식점·헬스장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 제한 시간을 오후 10시로 1시간 연장하는 조치는 일부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미봉책’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의 완전 완화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이들 단체는 또한 정부와 여당의 신속한 피해 보상을 요구하기도 했다.
소상공인연합회 차남수 정책홍보본부장은 “정부가 소상공인 요구를 일부 받아준 것은 환영한다”며 “이제는 음식점에서 식사한 뒤, 헬스장에 갈 수도 있고 다른 업종 간에 연계된 소비가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야간 영업을 주로 하는 업주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자정까지는 영업할 수 있게 (규제를) 풀어줘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있다”고 밝혔다.
집합 제한·금지 업종의 12개 자영업자 단체로 구성된 ‘코로나19 대응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의 김종민 대변인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하향 조정된 것은 환영하지만, 영업 제한 시간이 오후 10시로 1시간 연장된 것은 미봉책으로 (자영업자 입장에서는) 동의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오는 16일 방역 당국과 간담회를 하고 영업시간 제한과 관련해 조정기구를 만드는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며 “정부가 성의 있는 입장을 내놓지 않으면 더 강력한 행동을 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소상공인 단체들은 이번 거리두기 완화와는 별개로, 정부와 국회에서 논의 중인 소상공인 피해 보상이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 본부장은 “연말 대목을 놓친 소상공인들이 유동성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며 “정부와 여당이 보상 문제에 대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고, 무이자 대출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외식업중앙회 권오복 상임부회장은 “외식업 현장에서는 가장 절실한 부분이 5인 이상 모임 금지를 10인 이상 모임 금지로 풀어주는 것”이라며 “그래서 (수도권 기준) 영업시간이 1시간 늘어났다고 해서 만족하지는 않는다”고 전했다.
권 부회장은 “음식점에서 확진자가 많이 나온 사례는 보지 못했다”며 “그런데도 이렇게 인원 제한을 유지하는 것에 대해 점주들은 굉장히 불만”이라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