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생활고… 가스비·전기세 미납자 급증

사진=뉴스1
사진=뉴스1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악화로 인해 시내가스요금을 연체한 가구가 처음으로 100만 가구를 웃돌 것이란 추정치가 나왔다.

한국가스공사가 7일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도시가스요금 체납현황’ 자료에 따르면, 작년 1~8월 집계된 가스요금 연체가구는 83만3450가구(580억8500만원)에 달한다. 이는 8개월 만에 전년 총합인 80만4180가구를 넘어선 수치로,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윤 의원은 “작년 한 해로 보면 가스요금을 연체한 가구가 100만 가구를 훌쩍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19로 인한 영업제한 조치 등이 이어지면서 경제 취약계층의 생활고가 가중되는 모습”이라고 풀이했다.

전기료 역시 자영업자에겐 부담이 크다. 기본요금이 높은 탓에 영업을 하지 않더라도 만만치 않은 고정비가 지출되기 때문. 특히 방역지침으로 인해 한동안 영업이 전면 금지됐던 헬스장, 노래방 등은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서울에서 헬스장을 운영하고 있는 한 업주는 “전기 사용량은 평소 대비 10분의 1 수준으로 줄었지만 전기료는 30~40% 수준에 이른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이에 정부는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의 경우, 신청자에 한해 가스요금 및 전기료의 납부유예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작년 4~6월 48만6000가구에 대해 414억원 납기 연장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작년 9~12월엔 46만9000가구에 대해 883억원을 납부유예했다.

올해 1~3월에는 소상공인 663억원, 취약계층 422억원 등 총 1085억원의 납부유예를 추진 중이다. 전기료의 경우 작년 4~12월 신청자에 한해 전기요금 납부일을 3개월 연장해줬다. 현재는 올해 4차 납부유예를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총 28만3565가구가 신청했으며, 납기연장 금액은 지난달 중순 기준 948억원에 달한다.

도시가스 업체들도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정부의 납부유예 방침에 동참하고 있다. 다만 납부유예 신청자들이 연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우려의 시선이 있는 것도 사실.

한 도시가스업체 관계자는 “납부유예에 동참하고 있지만, 유예기간이 길어지면서 이대로 돈을 떼이는 게 아닌지 걱정되는 게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김형순 대한외식업중앙회 중구 지회장은 “자영업자들은 이제 벼랑 끝에 몰렸다”며 “전기료와 가스요금은 정부의 지원이 절실한 분야”라고 말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